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스로 깨어난 자 붓다> / 카렌 암스트롱

붓다에 관한 책을 (계속) 읽고 있다. 민법 공부가 지겨울 때마다 한 챕터씩 읽어나가고 있으니 일종의 취미생활인 셈이다. 공부와 진로의 번뇌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소박한 마음이었지만, 어느새 다소 진지한 독서로 이어지고 있다.

 

세 번째로 읽은 책은 <스스로 깨어난 자 붓다>, 영국의 종교학자 카렌 암스트롱이 쓴 싯다르타의 전기이다. 이전에 읽은 책들과 달리 싯다르타의 생애에 보다 충실한 편이지만, 풍부한 종교학적 논의를 서술의 기본으로 삼고 있어서 불교의 현대적 이해에도 도움이 된다. 특히 (부당하게) 제도화된 불교의 교리로부터 싯다르타 자신의 가르침을 분리하고, 싯다르타의 생애에 덧씌워진 초현실적 외피를 합리적인 시각에서 재구성하려는 시도가 눈에 띈다. 예컨대 붓다가야에서의 득도의 밤에 관한 <니다나 카타>의 환상적인 이야기들을 니르바나에 이르는 과정에 관한 상징적 우화로 보고, 이를 심리학적으로 해석하려는 식이다.

 

그런데 극도로 경쟁적인 이 곳에서 붓다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이 가능할까? 苦集滅道를 좇아 집착을 버리고 평온한 마음을 갖는다는 것이 그저 자기도태를 의미하게 되지는 않을까? 오히려 강렬한 집착으로 사는 것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는 아닐까?

 

나는 붓다의 가르침을 편의적으로 오독하기로 했다. 사람이 삶의 맡은 바 최선을 다하는 것은 당연하다. 나태함을 버리고 일상의 모든 측면을 인식하고 받아들인다는 점에서 오히려 붓다의 가르침에 부합한다고도 볼 수 있다.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은 바른 생활과 노력, 집중을 의미하는 바, 八正道 수행의 일환이라고도 볼 수 있다.

 

버려야 할 것은 결과에 대한 집착이다. 응당 좋은 성적을 받아야 한다는 집착이 고통을 부른다. 공부하는 과정에서 깨달음을 얻었으면 그만이다. 이를 성적으로 증명받고자 하는 욕망, 혼자서 차지하려는 집착이 니르바나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그러니 나는 아직 멀었다. 잘 쓰여진 붓다의 전기를 읽으며 가장 먼저 든 마음이 책을 사고 싶다는 소유욕이었을 정도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