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987> 봤다

ㅎ선배의 이야기다.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녹두호프에서 청춘을 허비한 밤이었다. 막차가 끊어지자 ㅎ선배는 인학실(인문대 학생회실)에서 밤을 보내기로 결심하고 학교로 올라왔다. 운동권 소굴이던 인학실에는 밤샘 작업을 위한 낡은 2층침대가 있었으니 자연스러운 결론이었다. 문제는 ‘공식적으로는’ 12시 이후에 학교 건물에 출입할 수가 없게 되어 있어서 자동문이 모두 잠긴다는 점이었다.

 

당시 인학실은 인문대 3동에 있었다. 인문대 건물은 언덕을 따라 8개동으로 지어져 있었는데, 앞동은 문학계열, 뒷동은 사철계열이었다. 중간쯤에 위치한 3동도 언덕을 깎아가며 지었기 때문에 전면은 평지였지만 후면은 2층까지 대지가 솟아있었다. 후면 언덕에서 3동 2층 뒷문으로는 구름다리가 하나 연결되어 있었는데, 바로 이 뒷문 옆이 인학실이었다. ㅎ선배는 구름다리 옆 창문을 타고 인학실에 침입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구름다리 바로 옆 창문은 방범용 창살로 막아놓았기 때문에, 창문 4개 넓이만큼은 창틀을 잡고 건너가야 했다. 고작 2층이니 때문에 떨어진다고 죽기야 하겠냐마는, 그래도 다리 하나쯤은 부러질 수 있는 높이였다. 그러나 술에 적당히 취한 ㅎ선배에게는 알 수 없는 용기가 샘솟아 창틀을 붙잡고 아슬아슬한 곡예를 시작했다. 의외로 간단했다. 창살이 없는 창에 도착하자 ㅎ선배는 창을 열고 인학실 안쪽을 둘러봤다.

 

으악!

 

ㅎ선배의 심장이 덜컹하고 내려앉았다. 어두운 인학실 내부에 머리 하나가 동동 떠서 ㅎ선배와 눈을 마주쳤기 때문이다. 뭐야, 귀신인가? 술때문에 헛것이 보이나? 하마터면 뒤로 자빠져 다리를 부러뜨릴 뻔한 ㅎ선배가 정신을 가다듬고 어둠 속 얼굴을 바라보자 희미한 형상이 점차 또렷해졌다.

 

벽에 걸린 박종철 열사의 영정이었다.

 

==

 

원체 입담이 좋던 ㅎ선배였다. 이 이야기를 처음 들은 것은 1학년 어느 학회 술자리에서였는데, 그 후로 인학실에 들어갈 때마다 이 이야기가 떠올랐다. 그래서인지 박종철이라는 이름을 들어도 무겁게 느껴지지 않았다. 내가 태어나기 딱 10달 전인 1987년 1월, 고작 22살이던 언어학과 3학년이 남영동으로 끌려가 물고문으로 죽었고, ‘탁 하니 억 하고 죽었다’라는 희대의 망언을 남기며 민주화를 촉발시켰다는 그 무거운 사건보다는, 택시비 아끼려다가 박종철 선배 따라갈 뻔 했다던 ㅎ선배의 농담이 나에겐 더 현실적이었기 때문이다.

 

<1987>을 보고 난 후, 영정의 이미지로만 남은 박종철 열사에 대해서 자꾸만 생각하게 된다. 변변치도 않은 인물인 선배 하나 지키겠다고 물고문을 당하다가 피워보지도 못한 스물둘의 인생에 대해서 생각하게 된다. 나는 벌써 서른이 넘었지만, 그런 어른이 되려면 아직 멀었다는 생각을 한다. 요즘에도 졸업식 시즌에는 박종철 열사 추모비에 꽃을 놓는 사람들이 있을까. 영정 사진으로밖에 만난 적 없는 박종철 선배가 나만큼 살았더라면 무엇을 하고 싶었을까. 나는 무엇을 하면 좋을까.